통계 : 제품별, 일자별, 검사원별, 불량 유형별 등 세부 항목의 현황 데이터를 실 시간 분석하여 시각화. 교육 : 집계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품별 검출 강화 항목, 불량 유형에 대한 교육 지표로 활용.